4가지 팔의 연결
팔의 모든 동작에는 이 4가지 연결이 작용한다. 팔에는 몸통에서 손끝에 걸쳐 전 방에 2개, 후방에 2개, 이렇게 총 4가지 연결이 있다. 전방 라인은 각각 표층과 심층으로 나뉜다. 표층에서는 비교적 큰 근육을 지나 운동 연결과 결합함으로써 큰 동작에 관여한다. 심층에서는 팔과 어깨의 움직임을 섬세하게 조절하는 근육이 많아서 미세한 동작에 관여한다.
머리와 무게를 지탱하는 부위는 체간과 하체이며, 팔 자체는 몸통에 매달린 부분이라서 자세와 관계없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사무 업무를 하거나 팔과 어깨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팔의 연결이 머리의 위치를 변위 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스트레칭이나 요가 등으로 어깨와 팔을 의식해서 풀어주는 것이 좋다.
새의 날개를 떠올려 보면 4가지 팔의 연결을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새처럼 손바닥을 아래로 향한 자세에서 팔을 옆으로 벌려보면 이때,
1. 표층 전방 연결은 공기를 가두는 날개의 아랫면
2. 표층 후방 연결은 하늘로 향하는 날개의 윗면
3. 심층 전방 연결은 공기의 저항을 바꾸는 날개의 앞 가장자리
4. 심층후방연결은 날개의 뒤 가장자리가 된다.
팔의 전방 연결(전체)
팔이 굳으면 갈비뼈 등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기 쉽다.
팔의 전방 연결은 표층과 심층으로 나눌 수 있다. 표층에서는 큰 근육이 갈비뼈를 앞뒤로 뒤덮듯이 어깨로 뻗어 있다. 심층에서는 가슴에서 어깨뼈 일부로 뻗어 있다. 위팔에서는 표층 연결이 뼈에 가깝게 지나고 심층연결이 근육을 지난다. 또한 표층은 큰 움직임에 관여하고 심층은 미세한 움직임에 관여하는 경우가 많다. 물건을 잡을 때는 심층과 표층이 모두 사용된다.
팔의 후방 연결(전체)
표층과 심층의 균형이 중요하다. 팔의 후방 연결 또한 표층과 심츠으로 나눌 수 있다. 표층에서는 등에서 삼각근으로 연결되고, 심층에서는 등에서 어깨뼈를 감싸듯이 팔로 향한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표층은 큰 움직임에 관여하고, 심층은 미세한 움직임에 관여한다. 전체적으로는 팔을 신체의 뒤쪽으로 움직일 때 사용된다. 팔의 연결은 근육과 뼈를 지나는 비율이 부위에 따라 다르다.
팔의 전방 연결(표층)
대흉근과 광배근은 모두 어깨를 안쪽으로 돌리는 근육이다. 팔의 전방 연결(표층)은 가슴과 등에서 갈비뼈를 끼우듯이 갈라져 겨드랑이 아래에서 합류한다. 그런 다음 위팔의 근육과 근육 사이를 지나 손을 쥐는 근육(손목의 굴근무리)으로 연결된다. 체간에서는 대흉근과 광배근이 운동 연결과 연결되고, 테니스의 서브나 수영에서 자유형과 같은 동작을 할 때 이 연결을 통해 체간의 힘을 손바닥까지 전달한다.
팔의 전방 연결(심층)
소흉근은 쇄골하근과 근막으로 연결된다. 팔의 전방 연결(심층)은 대흉근에서 시작해 어깨뼈의 일부(오구돌기)를 지나 소위 알통이라고 불리는 근육으로 향한다. 팔꿈치부터는 뼈를 따라 엄지손가락까지 뻗는다. 소흉근은 빗장뼈(쇄골)에도 막으로 연결되어 갈비뼈와 빗장뼈 부위에서 어깨의 움직임을 지지한다. 특히 엄지손가락의 움직임을 조절해서 엄지손가락을 자주 사용하는 치료사 등의 직업군은 이 연결이 짧아져 있는 경우가 많다.
팔의 후방 연결(표층)
하늘을 향해 양손을 벌리는 듯한 동작을 수행한다. 팔의 후방 연결(표층)은 뒤통수에서 등뼈를 따라 넓게 내려간다. 어깨의 삼각근과 위팔의 외측에서 근유과 근육 사이를 지나 손목을 젖히는 아래팔의 근육까지 뻗어 있다. 이 연결은 테니스의 백핸드나 물건을 잡는 동작을 수행할 때 작용한다. 팔이 굳으면 이 라인을 따라 어깨나 목에 긴장을 느끼기 쉽다. 특히 승모근은 어깨 결림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근육이다.
팔의 후방 연결(심층)
견갑거근에서 머리 부위의 작은 근육으로 연결된다. 팔의 후방 연결(심층)은 등뼈에서 어깨뼈를 향한다. 그런 다음 어깨뼈와 어깨관절을 전체적으로 감싸듯이 상완삼두근으로 향하고, 아래팔뼈를 지나 새끼손가락 외측에서 정지한다. 손날치기와 같은 동작은 이 연결이 일체화되면 관절을 안정시킬 수 있다. 네발 기기 자세를 취할 때도 팔의 전방연결(심층)과 함께 팔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시킨다.
팔의 연결 기억하는 법
4가지 팔의 연결은 체간에서 손끝까지 전체 면을 덮고 있다. 표층에 있는 2개의 연결은 날갯짓 할때 강한 힘을 만들어내고, 심층에 있는 2개의 연결은 공기 저항 등을 섬세하게 조절한다.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은 심층으로 연결되고, 엄지손가라과 새끼손가락을 포함한 나머지 손가락은 표층으로 연결된다고 이해하면 기억하기 쉽다.
'인체신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막 배의 연결 (0) | 2024.04.22 |
---|---|
근막 골반 고관절의 연결 (0) | 2024.04.22 |
근막의 3가지 운동 연결 (0) | 2024.04.15 |
근막의 심층연결 (0) | 2024.04.15 |
근막의 나선 연결 (0) | 2024.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