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은 의사가 청진을 해야만 진단할수 있습니다. 감기보다 심한 호흡기 질환가운데 가장 흔하게 걸리는 병이 바로 모세기관지염입니다. 급성 세기관지염이라고도 부르는 이 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세기관지에 걸리는 호흡기 질환으로 늦가을부터 초겨울가지 그리고 봄에 많이 유행합니다. 한창 유행할 때는 아파트 한 동에 사는 꼬맹이란 꼬맹이는 죄다 모세기관지염에 걸려서 소아과에서 반상회를 한다고 농담하는 엄마들이 있을 정도입니다. 주로 2세 이하의 아기들이 많이 걸리고 의사가 청진을 해야만 진단할수 있는 병입니다.
모세기관지염은 절대로 가볍게 생각해선 안됍니다. 모세기관지염에 걸리면 쌕쌕거리고, 기침을 심하게 하고, 가래가 끓고,콧물도 나며, 숨을 가쁘게 쉽니다. 심해지면 숨이 차고 잘 먹지도 못합니다. 열은 나는 경우도 있고 안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세기관지염은 천식과 증상이 비슷해 구별하기 어려운데 간혹 천식과 겹치기도 합니다. 일단 이 병에 걸리면 치료하는 중이라도 2~3일간은 증세가 심해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아기가 모세기관지염에 걸렸을 때는 감기에 걸렸을 때보다 더 신경을 써야 합니다.
모세기관지염에 자꾸 걸리면 천식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모세기관지염에는 특효약이 없으며, 주로 그때그때 증상에 따라 치료하는 대증요법을 씁니다. 열이나면 해열제를 쓰고, 잘못 먹으면 탈수 방지를 위해 전해질 용액을 먹입니다. 상태가 심하면 흉부 엑스선 사진을 찍기도하고, 숨이 차면 산소 호흡기로 산소를 공급해주며, 산혈증이 생기면 이것을 교정합니다. 산혈증이란 숨을 너무 가쁘게 쉬어 신진대사에 장애가 초래되면서 혈액의 산중화 능력이 감소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오전에 소아과에 다녀왔어도 오후에 증세가 심해졌다면 다시 그 소아과를 방문해서 의사와 상의하십시오. 경우에 따라서는 큰병원으로 보내줄 것입니다. 어릴때 자꾸 모세기관지염에 걸리는 아이는 나중에 천식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치료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습니다. 기침을 한다고 다 감기라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감기라 생각하고 기침줄이는 약을 먹였다가는 병을 더 악화시킬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합니다.
모세기관지염에 대해 흔히 하는 오해들
1. 아이가 숨이 차 할 때는 가래나 코를 뽑아야 한다. 모세기관지염에 걸린 아이가 가래와 코때문에 더욱 숨이 차는것 같으니 가래와 코를 뽑아달라며 소아과를 찾아오는 분들이 있습니다. 가래나 코를 뽑아주면 일시적으로 아이가 편해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대한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 학회의 전문가들은 호흡기 질환의 치료를 위해서 가래와 코를 뽑아내고 코와 목에 약을 뿌리는 것을 권하지 않습니다.
2.기침이 심하면 폐가 나빠진다. 기침은 우리 몸 속의 나쁜것을 내보내기 위해서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기침을 줄이지 않습니다. 병이 나으면 기침은 자연스럽게 멎게 마련입니다. 기침을 일으키는 병이 나쁜 것이지, 기침 그자체는 좋은 것입니다.
3.센 항생제를 사용하면 빨리 좋아진다. 일반적인 기관지염은 아무리 센 항생제를 사용해도 합병증이 줄거나 병이 빨리 낫지는 않습니다. 항생제를 남용하면 내성만 생기고 부작용이 생길수 있습니다.
4. 처음부터 큰병원에서 치료하는 것이 좋다. 아이의 병을 치료하는 것은 병원이 아니라 의사입니다. 큰병원이나 동네 소아과나 아이의 모세기관지염을 치료하는 방법은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아이의 상태가 심해져 숨을 가빠하거나 잘 못 먹어서 혈관 주사로 수액을 맞아야 하거나, 폐렴이 의심되어 검사나 입원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동네 소아과에서 바로 큰병원으로 보내줍니다. 처음부터 큰병원에 가는것은 아이에게 도리어 손해입니다.
폐에 염증이 생기는 폐렴
폐렴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폐렴은 세기관지보다 더 아래쪽인 폐에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호흡기 질환 중에서도 비교적 심한 질환에 속합니다. 폐렴은 주로 바이러스에 의해 걸리는데, 마이코폴라즈마라는 세균이 원인이 될 때도 있습니다.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어서 그냥 심한 감기라고 생각될 정도로 기침만 심한 폐렴부터, 숨쉬기조차 힘들고 누가봐도 중병이라고 생각되는 폐렴까지 다양합니다. 폐렴에 걸리면 기침이 나고, 열이나며, 가래가 끓고, 호흡이 곤란해지기도 합니다. 심한 감기나 급성 세기관지염과 거의 비슷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폐렴 치료에 특별히 좋은 방법은 없습니다. 폐렴을 어떻게 치료하느냐는 의학 교과서에 적혀 있기 때문에 전세계의 모든 의사들이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치료합니다. 폐렴은 의사가 바로 진단을 붙이는 경우도 있지만, 처음에는 증상이 가볍기 때문에 감기로 치료하다가 며칠이 지난 뒤에야 진단이 붙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아과 의사가 진찰해서 폐렴이 의심되면 흉부 엑스선 사진을 찍거나 큰병원으로 보내줍니다. 물론 가벼운 폐렴은 동네 소아과에서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페렴에 걸렸을때 엄마가 알아두어야할것들
1. 아이가 폐렴에 걸렸다고 반드시 입원을 해야만 하는것은 아닙니다. 종류에 따라서 동네 소아과에서 약만 잘 먹어도 치료가 되는 폐렴도 있습니다. 이런 폐렴은 소아과의사라면 다 판단할 수가 있습니다.
2. 항생제를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 반드시 의사가 그만 먹이라고 할때까지 먹여야 합니다. 며칠 동안 먹이다가 증상이 호전되면 투약을 중단하는 분도 있는데, 약은 반드시 정해진 기간을 채워야 합니다. 특히 입원 치료를 하다 급성기가 지나서 퇴원한 후에는 약을 지시대로 안먹이는 분들이 제법있습니다.
3. 흔히 폐렴 예방접종이라고 부르는 예방접종이 있는데 이것은 엄마들이 알고 있는 것처럼 모든 종류의 폐렴을 다 예방할수 있는 주사가 아닙니다. 아이가 폐렴에 한번 걸리고 나면 엄마들은 아이가 감기에만 걸려도 가슴이 덜컥 내려앉습니다. 그래서 폐렴 예방주사가 있다는 말을 듣고 소아과에 오셔서 폐렴 예방접종을 해달라고 하십니다. 이 접종은 폐렴구균이란 특이한 균에 의한 폐렴만을 예방하는 접종이며,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서 보통 아이들이 맞아야만 하는 접종은 아닙니다.
'인체신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낭염 증가 진단기술 원인 특징 (1) | 2024.11.25 |
---|---|
2024년 담낭염 원인 및 분석 진단법 주요질환 예방방법 (0) | 2024.11.25 |
통증이 어떻게 생기는지 왜 알아야 하는가? (0) | 2024.06.25 |
통증의 전달 경로 (0) | 2024.06.24 |
기계뇌 뉴로 컴퓨터와 뇌의 리버스 엔지니어링 (0)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