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의 연결
엉덩이에는 표층부터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이라는 3종류의 근육이 있다. 대둔근은 주로 다리를 뒤로 움직이는(고관절의 폄) 동작에 작용한다. 중둔근, 소둔근은 모두 다리를 옆으로 들어 올리는 작용을 한다. 엉덩이 근육은 사람이 서고 걷고 달리고 점프하는 등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근육이다.
엉덩이의 형태는 근육과 지방, 뼈의 위치에 따라 어느 정도 바뀔수 있지만, 뼈의 형태는 바꿀 수 없다. 골반 외측의 튀어나온 뼈(대전자)를 운동으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는 영상이 돌아다니고 있지만, 뼈의 형태에는 개인차가 있으므로 자신에게 맞지 않는 트레이닝은 부상 위험이 있으니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한 후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 연결의 일부인 대둔근은 척추를 따라 반대쪽광배근과 연결된다. 그리고 허벅지의 측면에서는 대퇴사두근의 하나인 외측광근으로 연결된다. 중둔근은 위로는 복사근, 아래로는 장경인대로 연결되어 외측 연결을 형성한다.
대둔근
허벅지의 막, 광배근과 연결된다. 대둔근은 엉덩이의 근육 중에서 가장 표층에 위치하는 근육이다. 골반의 뒤쪽과 엉치뼈에서 시작해 허벅지 뼈에 붙어 있다. 그리고 고관절의 외측에서 외측 연결과 이어져 엉덩정강근막과 무릎까지 붙는다. 일부는 심부로 들어가 햄스트링과 대퇴사두근을 나누는 막으로 바뀐다. 엉치뼈 위쪽으로는 반대쪽 광배근과 이어져 운동연결로도 작용한다.
대둔근의 움직임
상부와 하부에서 기능이 바뀐다. 대둔근의 전체적인 움직임은 고관저르이 폄(고관절을 뒤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고관절의 위쪽을 지나는 부분과 아래쪽을 지나는 부분에서는 기능이 바뀐다. 위쪽에서는 다리를 옆으로 올리고, 아래쪽에서는 다리를 안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에 관여한다. 트레이닝이나 스트레칭 등을 할 때 이 움직임을 이해하면 핵심 부위를 자극할 수 있다.
중둔근
외측 연결의 일부로 엉덩이 모양을 바꾸고 싶은 사람은 체크한다. 중둔근은 3개의 엉덩이 근육 중 중간층에 위치한다. 이 근육은 골반의 측면에서 허벅지 뼈의 일부(대전자)에 붙는다. 또한 외측연결의 일부로 고관절의 측면 움직임에 관여해 외측에서 다리를 지탱하며 골바느이 수평을 유지한다. 연결이 허벅지의 측면을 향해 뻗어 있어서 이 부위가 딱딱해지면 허벅지 외측 근육에 영향을 미친다.
중둔근의 움직임
고관절을 안팎으로 내외측으로 비트는 기능도 있다. 중둔근 전체가 작용하면 다리를 옆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을 만들어낸다. 고관절의 축을 기준으로 앞부분은 고관절을 굽히고 내측으로 비트는 반면에 뒷부분은 고관절을 펴고 외측으로 비튼다. 중둔근은 한 발로 서 있을 때 골반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작용하므로 일반적인 스쿼트보다 한 발 스쿼트를 할 때 자주 사용된다. 복사근의 옆부분이 제대로 기능하면 중둔근도 움직이기 쉽다.
소둔근
중둔근의 형제 같은 근육으로 소둔근은 심부에 있어서 고관절의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둔군은 엉덩이 근육중 가장 안쪽에 있다. 중둔근의 심층에서 골반의 외측을 지나 허벅지 뼈에 붙어 있다. 근육의 주행이나 역할은 중둔근과 비슷하다. 소둔근은 심부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어렵다고 느끼기도 하는데 옆으로 눕혀 고관절을 벌리게 하면 중둔근이 이완되므로 그 안쪽으로 압력을 가하면 소둔근에 접근할 수 있다.
소둔근의 움직임
한 발로 서 있을 때 골반이 떨어지지 않도록 안정시킨다. 소둔근의 작용은 중둔근과 비슷하다. 다리를 옆으로 들어 올리거나 한발로 서 있는 동작에서 골반이 떨어지지 않도록 수평을 유지한다. 그런데 중둔근은 내외 측으로 모두 비트는 작용을 하지만, 소둔근은 내측으로 비트는 움직임이 주된 작용이고 외측으로 비트는 움직임은 보조만 한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2개의 근육은 스포츠 등에서 사이드 스텝이나 방향전환을 할 때 작용한다.
엉덩이의 심층 근육
심층근육은 골반바닥과도 연결된다. 엉더이 안에는 6개의 근육이 붙어 있다. 이 근육들은 허벅지 뼈를 골반 쪽으로 끌어당겨 고관절을 안정시킨다. 고관절이 안정되면 표층에 있는 엉덩이 근육이 작용하기 쉬워져 트레이닝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근육은 엉치뼈와 골반에도 뻗어 있어서 긴장이 심하면 척추의 균형이나 복압 상태에 영향을 미치므로 일상생활을 할 때 중요한 근육 중 하나다. 엉덩이 안 6가지 근육은 심부외회전근육이다.
'인체신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 팔의 근막 연결 (1) | 2024.04.28 |
---|---|
발의 근막 연결 (1) | 2024.04.28 |
근막 배의 연결 (0) | 2024.04.22 |
근막 골반 고관절의 연결 (0) | 2024.04.22 |
근막의 4가지 팔의 연결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