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체신비

어깨 팔의 근막 연결

by ★§☆#@○ 2024. 4. 28.

어깨 팔의 연결

어깨뼈와 갈비뼈 사이가 뭉치면 어깨를 들기 어렵다. 어깨뼈는 몸통과 팔을 연결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어깨뼈의 움직임이 제한되면 자세 조절이 어렵고 어깨와 팔이 부드럽게 움직이지 않는다. 어깨뼈와 갈비뼈 사이에는 몇 개의 연결이 있는데, 이 연결은 등뼈에서 시작해 팔의 심층과 몸통의 앞면으로 뻗어 있다. 특히 전거근은 체간과 팔의 운동에 매우 중요한 근육이다.

책상 업무 등으로 어깨가 말린 사람에게 추천하는 스트레칭이 있다. 우선 서 있는 자세에서 손을 뒤로 깍지끼고 어깨뼈를 등뼈 쪽으로 모아 팔을 올리면서 가슴을 쭉 편다. 왼쪽 그림의 능형근이나 전거근의 움직임을 느껴보자. 이때 어깨는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어깨가 잘 뭉치는 사람은 필요 이상으로 어깨를 올리고 있는 경우가 많다. 원래 어깨뼈, 빗장뼈, 팔은 갈비뼈에 매달려 있을 뿐이다. 자세가 좋지 않으면 체간에서 머리를 지탱하는 힘이 약해지기 때문에 어깨 주위근육을 사용해 머리를 지탱하게 된다. 머리는 어깨에서 지탱하는 거싱 아니라 체간에서 지탱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한다. 

말린 어깨

가슴의 표층과 심층에서 부착하는 뼈가 다르다. 말린 어깨를 교정하려면 어떤 근육이 짧아져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흉근은 위팔뼈를 앞으로 잡아당긴다. 대흉근 속에 있는 소흉근은 어깨뼈 일부에 붙어 있기에 어깨뼈를 앞쪽으로 기울이듯이 잡아당긴다. 대흉근과 소흉근 모두 어깨를 안으로 밀듯이 잡아당기지만, 두 근육의 차이를 이해하면 스트레칭이나 마사지 등을 통해 풀어야 할 근육이 무엇인지 알게 된다.

어깨 속근육

어깨가 아픈 이유는 회전근개가 뭉쳐서인 경우가 많다. 어깨의 심층에서는 어깨뼈에서 위팔뼈로 4개의 근육이 뻗어 있다. 이 근육들은 어깨뼈를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어 어깨 관절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깨의 섬세한 동작도 조절한다. 이 4개의 근육(회전근개)이 굳으면 팔의 심층 연결과 관련하여 목이나 어깨뼈 내측이 긴장된다. 사십견이나 오십견인 사람은 이근육이 뭉치기 쉽다. 

어깨 속근육의 움직임 

어깨 안정화에 중요한 근육이다. 어깨에는 4개의 소근육이 있다. 팔의 벌림을 도와주는 극상근, 팔을 안쪽으로 돌리는 견갑하근, 팔을 바깥으로 돌리는 극상근과 소원근이 그것이다. 이러한 4개의 근육은 팔의 심층 연결로 어깨뼈와 어깨 관절을 감사면서 새끼손가락까지 연결한다. 어깨의 섬세한 동작은 새끼손가락의 움직임을 의식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어깨의 연결

이 연결은 표층의 막이다. 어깨의 표층에서는 어깨뼈를 끼고 2개의 근육이 연결된다. 이 2개의 근육은 팔의 후방 연결로 작용하는 삼각근과 승모근이다. 삼각근과 승모근은 표층에서 같은 막으로 싸여있다. 무거운 물건을 장시간 들면, 삼각근에서 어깨 목으로 긴장감이 퍼지므로 삼각근을 포함한 전체를 이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손목을 구부리는 근육

골프 엘보는 내측 팔굼치에 통증을 유발한다. 손목의 굽힘, 손가락의 쥐는 동작에 작용하는 근육 대부분은 팔꿈치의 내측으로 뻗어 있다. 골프 등을 했을 때 팔꿈치 안쪽이 아픈 이유는 이러한 근육을 사용하는 동작(그립을 쥐고 손목을 젖히는)을 반복해서 부착 부위에 염증이 생기기 때문이다. 손바닥은 내측 팔꿈치를 지나 대흉근과 체간으로 이어진다. 스포츠를 즐길 때 팔꿈치와 손목을 보호하려면 팔의 연결이 체간과 일체화되는 감각이 중요하다. 

손목을 젖히는 근육

테니스엘보는 외측 팔꿈치에 통증을 유발한다. 팔꿈치의 외측으로 향하는 근육이 많다. 손목 젖힘, 손가락의 벌리는 동작에 작용하는 근육 대부분은 팔꿈치의 외측으로 뻗어 있다. 테니스의 백핸드 등의 동작을 수행할 때 이 근육들이 과도하게 사용되면 팔꿈치 외측에 통증이 생기기 쉽다. 팔이 체간과 연결되는 감각을 이해하면 팔에 부담을 줄일수 있다. 

위팔과 아래팔의 구획

위팔과 아래팔에서 근육의 비율이 바뀐다. 팔의 연결은 위팔과 아래팔에서 근육의 비율이 바뀐다. 위팔에서는 팔의 심층연결이 근육을 지나고, 팔의 표층 연결이 근육을 나누는 막을 지난다. 아래팔에서는 팔의 표층 연결이 근육을 지나고, 팔의 심층 연결이 뼈의 막을 지난다. 연결이 근육을 지나는지, 혹은 막을 지나는지를 통해 기억하면 된다. 

'인체신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막 연결의 개선  (0) 2024.04.29
체간의 근막연결  (1) 2024.04.28
발의 근막 연결  (1) 2024.04.28
근막 엉덩이의 연결  (1) 2024.04.28
근막 배의 연결  (0) 2024.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