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과학

비와 눈의 생성 물의 순환

by ★§☆#@○ 2024. 2. 19.

비와 눈의 생성

우리는 경험을 통해 맑았던 하늘이 어두워지고 구름이 검은색으로 변해가면 비가 온다고 알고 있죠. 실제로 비는 어떻게 내리는 것일까요?

비가 내리는 과정은 두 가지 이론으로 설명할수 있어요. 먼저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에서 내리는 비나 눈은 보통 구름 속의 수증기가 얼음 알갱이에 달라붙고, 이 얼음 알갱이가 성장하여 만들어져요. 성장한 얼음 알갱이가 지표면까지 그대로 내리면 눈이 되고, 떨어지는 과정에서 녹으면 비가 돼요.

 

저위도 열대 지방에서는 구름 속 물방울들이 서로 충돌하여 만들어진 큰 물방울이 떨어져 비가 돼요. 그래서 중위도나 고위도에서 내리는 비는 차가운 비, 저위도에서 내리는 비를 따뜻한 비라고 부르기도 해요.

 

한편 상승 기류가 강한 구름에서는 성장한 얼음 알갱이가 상승 운동과 하강 운동을 반복하면서 성자하여 커다란 얼음 알갱이로 성장하면 커다란 우박으로 떨어지기도 해요.

 

구름은 항상 하늘에 떠 있는 것일까요? 꼭 그렇지는 않아요. 구름은 결국 비가 되어 지상에 내리고, 이 비는 강이나 호수, 바다로 되돌아가 그곳에서 다시 태양 에너지에 의해 증발되어 공기 중의 수증기로 되돌아가요. 그리고 또 구름이 만들어지죠.

 

즉, 물은 보이는 물(비, 눈, 강, 호수, 바다 등) 과 보이지 않는 물(수증기, 구름 속 물방울)로 모습을 계속 바꾸며 끊임없이 순환하고 있어요. 이런 과정이 물의 순환이라고 해요. 물의 순환과정을 통해 지구의 열적 균형이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서 여러가지 기상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