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사15

청동기 청동기 인류의 역사를 설명할 때 몇 가지 기준이 있다. 우선 선사 시대와 역사 시대로 나눌수 있다. 선사시대는 말 그대로 역사 이전 시대를 말하는데, 핵심 기준은 문자사용 여부다. 문명의 발전에서 문자의 발명은 핵심적이었고, 무엇보다 문자로 쓰인 여러 기록이 남겨진 시대와 그러지 못한 시대는 확연히 구분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선사 시대는 주로 고고학자가, 역사 시대는 역사학자가 연구를 담당한다. 고고학자는 유적과 유물에 근거해 선사 시대를 해석하고, 역사학자들은 문헌 연구를 통해 역사 시대를 분석한다. 역사시대는 통상 고대, 중세, 근현대로 분류하는데, 단순한 시간순이 아니고 사회 성격을 분석해서 구분한 것이다. 도구를 기준으로 인류의 역사를 분류하기도 하는데, 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2024. 2. 12.
북미자유무역협정 북미자유무역협정 1994년 미국, 캐나다, 멕시코 간에 맺어진 자유 무역 협정이다. 미국의 자본과 기술, 캐나다의 자원, 멕시코의 노동력이 결합된 대표적인 지역화 정책의 일환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여러 국제기구의 설립을 주도하며 국제 자유무역을 선도했다. 하지만 프랑스,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 연합이 만들어지고,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의 여러 국가가 신흥 경제 강국으로 대두되는 등 미국의 독점적 지위는 위기를 맞이한다. 미국은 세계무역기구를 중심으로 더욱 강력한 자유 무역 체제를 구죽하는 동시에 북미자유무역협정처럼 자국에 유리한 지역화 전력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등이 그러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미국과 멕시코의 경우, 자본과 노동력의 조합으로 효과를 .. 2024. 2. 12.
르네상스 시대 사람들은 그리스와 로마의 문화를 동경했을까? 르네상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직도 인간의 운명과 세상사란 신에 의해 정해진 숙명이라고 여기고 있었던 15세기에 이런 전통적인 세계관을 탈피하려는 노력이 학자와 예술가들에 의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이들은 막연하나마 더 나은 시대에 대한 예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미래를 전망하기보다는 일단 과거, 즉 현재의 세계보다 더 밝아 보이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를 돌아보며 이를 모범으로 삼았다. 새로운 시대가 르네상스라고 불리게 된 것은 이런 연유에서였다. 인간의 삶이란 내세를 위한 준비에 지나지 않는다는 중세의 크리스도교적 인간관은 이제 그 효력을 상실했다. 현세가 중시되고 인간 자체가 학문과 예술의 중심적인 관심사가 되었다. 이 시대의 지식인들은 고대 사상의 바탕 위에서 인간이란 단순히 전체의 일부분이.. 2024.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