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사

청동기

by ★§☆#@○ 2024. 2. 12.

청동기

인류의 역사를 설명할 때 몇 가지 기준이 있다. 우선 선사 시대와 역사 시대로 나눌수 있다. 선사시대는 말 그대로 역사 이전 시대를 말하는데, 핵심 기준은 문자사용 여부다. 문명의 발전에서 문자의 발명은 핵심적이었고, 무엇보다 문자로 쓰인 여러 기록이 남겨진 시대와 그러지 못한 시대는 확연히 구분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선사 시대는 주로 고고학자가, 역사 시대는 역사학자가 연구를 담당한다. 고고학자는 유적과 유물에 근거해 선사 시대를 해석하고, 역사학자들은 문헌 연구를 통해 역사 시대를 분석한다. 

 

역사시대는 통상 고대, 중세, 근현대로 분류하는데, 단순한 시간순이 아니고 사회 성격을 분석해서 구분한 것이다. 도구를 기준으로 인류의 역사를 분류하기도 하는데, 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분류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청동기 시대에는 문자를 사용하는 문명이 등장했고, 철기 시대에는 문자 사용이 보편화됐기 때문에 선사 시대를 석기 시대, 역사 시대를 청동기, 철기 시대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석시 시대는 돌을 활용하는 수준과 그 밖에 여러 생활 양식을 검토해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로 나눈다.

 

역사를 도구 사용으로 분류하는 방법은, 1816년 덴마크의 고고학자 크리스티안 위르겐센 톰센이 제안했다. 그는 석기, 청동기, 철기 시대로 분류했다. 고고학이 본격적으로 발전하면서 온갖 유물이 땅속에서 모습을 드러냈는데, 이를 해석하고 정리할 기준이 마땅치 않았다. 톰센은 덴마트 역사를 연구하면서 일일이 유물을 목록화하고 각양의 석기를 수집, 분류했다. 톰센은 무덤에서 나오는 부장품에 주목했다. 

 

석기, 도기가 시신과 함께 매장됐다는 사실, 시대나 문화에 따라 매장 방식에 차이가 있고 매장 문화, 매장 유물이 달라진다는 사실, 더구나 청동기, 금 장식품 등이 들어간 무덤과 들어가지 않은 무덤 등을 보면서 인류 역사 연구에 무덤과 도구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절감했다. 

 

청동기 시대에는 사회조직이 발전하고 청동기를 활용한 무기가 만들어질뿐 아니라, 지배층이 청동 제기를 만들어 자신들의 지위를 신성화하는 모습이 등장한다. 특히 중국의 초기 왕조에서는 어마어마한 수량과 고도의 기술을 자랑하는 청동기가 집중적으로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