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과학22

기단 전선 북태평양 기단 시베리아 기단 한랭전선 성질이 다른 공기 덩어리가 만날 때 일기 예보에서 장마 전선이라는 말을 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을 것이다. 전선은 일기에서 많이 쓰는 표현인데 전선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아보자. 기단 커다란 공기 덩어리가 큰 대륙이나 바다, 사막과 같은 넓은 지역에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 온도와 습도 같은 성질이 균일해 지는데, 이를 기단이라고 한다. 기단은 오랫동안 한 지역에 머물러 있으면서 그 세력이 확장되기도 하고 축소되기도 한다. 기단이 형성되는 곳과 성질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기온과 수증기량이 달라져 성질이 변하면서 날씨 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우리나라 주변의 기단 우리나라는 크게 4개의 기단의 영향을 받는다. 봄과 가을에는 양쯔강 기단, 여름에는 북태평양 기단, 겨울에는 시베리아 기단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 2024. 2. 22.
비와 눈의 생성 물의 순환 비와 눈의 생성 우리는 경험을 통해 맑았던 하늘이 어두워지고 구름이 검은색으로 변해가면 비가 온다고 알고 있죠. 실제로 비는 어떻게 내리는 것일까요? 비가 내리는 과정은 두 가지 이론으로 설명할수 있어요. 먼저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에서 내리는 비나 눈은 보통 구름 속의 수증기가 얼음 알갱이에 달라붙고, 이 얼음 알갱이가 성장하여 만들어져요. 성장한 얼음 알갱이가 지표면까지 그대로 내리면 눈이 되고, 떨어지는 과정에서 녹으면 비가 돼요. 저위도 열대 지방에서는 구름 속 물방울들이 서로 충돌하여 만들어진 큰 물방울이 떨어져 비가 돼요. 그래서 중위도나 고위도에서 내리는 비는 차가운 비, 저위도에서 내리는 비를 따뜻한 비라고 부르기도 해요. 한편 상승 기류가 강한 구름에서는 성장한 얼음 알갱이가 상승 운동과 .. 2024. 2. 19.
공기의 습한 정도는 어떻게 나타낼까? 공기의 습한 정도는 어떻게 나타낼까? 여름 장마철이 되면 비가 많이, 계속 내려요. 비가 계속 내리면 습해지죠? 이렇게 습하면 빠래 말리는 것도 힘들어요. 빨래가 말라도 꿉꿉한 냄새 때문에 곤란하기도 해요. 그래서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에 가장 인기있는 가전제품이 빨래 건조기예요. 겨울철에는 공기가 건조해져 산불이 많이 나요. 그 이유는 기온이 낮아지면서 증발량이 줄어들어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적어지기 때문이에요. 습하다, 건조하다 라고 표현하는 습도는 우리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어요. 습도가 너무 높으면 피부가 끈적끈적해서 불쾌하고, 너무 건조하면 감기나 여러가지 호흡기 질환에 시달리고 피부에도 좋지 않죠. 습하고 건조한 것을 이야기할 때는 습도 몇%라는 말을 써요. 이때 습도는 상대습도입니다... 2024. 2. 19.
해수면의 높이가 달라져요 해수면의 높이가 달라져요 조개잡이 체험을 하기 위해서는 주로 서해안으로 가요. 우리나라 서해안에서는 썰물 때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넓은 갯벌이 드러나고, 밀물 때 바닷물이 밀려 들어와 갯벌이 물에 잠겨요. 하루에 두번씩 모습을 드러내는 갯벌은 밀물과 썰물에 의해 해수면이 주기적으로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현상이 반복돼요. 이처럼 밀물과 썰물에 따라 해수면의 높이가 주기적으로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현상을 조석이라고 하고, 조석에 의해 나타나는 밀물과 썰물 같은 바닷물의 흐름을 조류라고해요.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 흐르는 해류와 다르게 조류의 방향은 주기적으로 바뀌어요. 해수면의 높이는 하루에 두 번씩 주기적으로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데, 밀물에 의해 해수면이 가장 높아진 때를 만조, 썰물에 의해 해수면이 .. 2024. 2. 19.